1. 우테코 Tomcat 만들기 미션 [step2. 로그인 구현하기]를 완성하고 PR 제출했다.
https://github.com/woowacourse/jwp-dashboard-http/pull/341
[톰캣 구현하기 - 1,2단계] 오잉(이하늘) 미션 제출합니다. by hanueleee · Pull Request #341 · woowacourse/jwp
안뇽하세요 하디씨?! 제가 리뷰어인줄 알았는데 하디가 리뷰어였군요 😋 이번 미션 참 쉽지 않았는데요... 리팩토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제가 구현한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요
github.com
3) Cookie에 JSESSIONID 값 저장하기
Cookie 클래스를 추가하고 HTTP Request Header의 Cookie에 JSESSIONID가 없으면 HTTP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를 반환해주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건 뭘까? 그럼 모든 요청마다 Cookie를 확인하고 JSESSIONID 없으면 새로 세션 만들어서 내려주라는 걸까?!
4) Session 구현하기
- Manager 인터페이스 바꾸기 (jakarta의 HttpSession에서 내가 만든 Session으로)
- SessionManager의 Map을 상수로 관리하는 이유 : 스프링 안 써서 싱글톤으로 관리못하니까
📍 리팩토링할 부분
- HttpRequest.create에서 BufferedReader를 parameter로 받아와서 테스트가 힘드네! 밖으로 빼야할까? (글렌 왈 : HttpRequest는 일종의 DTO다. 하는 일 없어도 된다)
- map으로 바로 Headers.create 하도록 수정?
- toByte() 메소드에 ""이거 하나 더 들어가서 뭔가 이상하다.
- HttpHeaders가 Map<String, String>인데 Map<String, Header>가 낫겠지?
- /index.html, /login.html 이런것들 상수나 뭐.. 기타등등으로 묶을까? 뺄까?
- Handler의 handle 메소드에서 파라미터로 request, response 둘 다 받는게 나을까?
- Handler라는 명칭이 잘못된듯. (controller? servlet?)
- request의 Content-Type이 xxx어쩌고 form data면 body 파싱해야함
- get : 쿼리 파람
- post & content-type : 메시지 바디에 쿼리 파람
- post(put, patch) : 메시지 바디 통
이렇게 하면 되려나? 실제 구현체 봐보자.
근데 1,2 둘 다 getParameter()로 조회하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입장에서는 두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서버 입장에서는 둘의 형식이 동일하므로, request.getParameter() 로 편리하게 구분없이 조회할 수 있다.)
- response.setStatus, res.setContentType, res.sendRedirect
📍 찾아봐야 하는 내용
HttpServletRequest
1. request가 session을 관리하는 이유가 뭘까?
2. getsession() 했을때 없으면 없는거지 굳이 새로 만드는 이유가 뭘까?(null 반환하면 되는거 아닌가?)
📍 참고할 부분
- HttpServletRequest&HttpServletResponse 객체의 실제 구현
- 특히 body에서 form파라미터 형식 조회 & message body 데이터 직접 조회
2. 영한님 MVC1편의 [섹션 1 : 웹 어플리케이션 이해] 강의자료를 읽었다.
예전에 들었던 강의의 자료를 다시 읽어봤다!
📍 서블릿
servlet을 지원하는 was인 tomcat 덕분에
tcp/ip 연결, 소켓 연결, http request message 파싱, http response message 생성 등의 업무를 하지않아도 된다!
(이번 미션을 진행하며 직접 request를 파싱하고 response를 만들고 등등을 했는데.. 새삼 톰캣에게 감사하다)
- 해당하는 url이 호출되면 해당 서블릿 코드 실행
-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를 통해 HTTP 요청을 쉽게 사용하고 HTTP 응답을 쉽게 만들 수 있다.


HTTP 요청이 들어오면~
- WAS는 Request, Response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서블릿 객체 호출
- 개발자는 Request 객체에서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
- 개발자는 Response 객체에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
- WAS는 Response 객체에 담겨있는 내용으로 HTTP 응답 정보를 생성
서블릿 컨테이너
- 톰캣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함
-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를 생성, 초기화, 호출, 종료하는 생명주기 관리
-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
-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계속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비효율
- 최초 로딩 시점에 서블릿 객체를 미리 만들어두고 재활용
- 모든 고객 요청은 동일한 서블릿 객체 인스턴스에 접근
- 공유 변수 사용 주의
- 서블릿 컨테이너 종료시 함께 종료
- JSP도 서블릿으로 변환 되어서 사용
- 동시 요청을 위한 멀티 쓰레드 처리 지원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된다. 즉, 서블릿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웹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하나만 생성되고 여러 요청 사이에서 재사용된다.
그러나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는 각 요청마다 새로 생성되며, 재사용되지 않는다.
📍 동시 요청 - 멀티 스레드
쓰레드
-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쓰레드
-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
-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
-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
-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 장단점
- 장점
- 동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 리소스(CPU, 메모리)가 허용할 때 까지 처리가능
- 하나의 쓰레드가 지연 되어도, 나머지 쓰레드는 정상 동작한다.
- 단점
- 쓰레드의 생성 비용은 매우 비싸다.
-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 응답 속도가 늦어진다.
- 쓰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한다.
- 쓰레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
- 고객 요청이 너무 많이 오면, CPU, 메모리 임계점을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다.
- 쓰레드의 생성 비용은 매우 비싸다.
쓰레드 풀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의 단점 보완)
- 특징
-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한다.
- 쓰레드 풀에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를 관리한다. 톰캣은 최대 200개 기본 설정 (변경 가능) 사용
- 사용
- 쓰레드가 필요하면, 이미 생성되어 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내서 사용한다.
- 사용을 종료하면 쓰레드 풀에 해당 쓰레드를 반납한다.
- 최대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쓰레드 풀에 쓰레드가 없으면?
- 기다리는 요청은 거절하거나 특정 숫자만큼만 대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장점
-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CPU)이 절약되고, 응답 시간이 빠르다.
-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쓰레드 풀 실무 팁
- WAS의 주요 튜닝 포인트는 최대 쓰레드(max thread) 수이다.
- 이 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서버 리소스는 여유롭지만, 클라이언트는 금방 응답 지연
- 이 값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CPU, 메모리 리소스 임계점 초과로 서버 다운
- 장애 발생시?
- 클라우드면 일단 서버부터 늘리고, 이후에 튜닝
- 클라우드가 아니면 열심히 튜닝
쓰레드 풀의 적정 숫자
- 적정 숫자는 어떻게 찾나요?
-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복잡도, CPU, 메모리, IO 리소스 상황에 따라 모두 다름
- 성능 테스트
- 최대한 실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성능 테스트 시도
- 툴: 아파치 ab, 제이미터, nGrinder
WAS의 멀티 스레드 지원
- 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가 처리
- 개발자가 멀티 쓰레드 관련 코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됨
- 개발자는 마치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편리하게 소스 코드를 개발
-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서블릿, 스프링 빈)는 주의해서 사용
3. 영한님 MVC1편의 [섹션 2 : 서블릿] 강의자료를 읽었다.
서블릿은 톰캣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그 위에 서블릿 코드를 클래스 파일로 빌드해서 올린 다음, 톰캣 서버를 실행하면 된다. 하지만 이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스프링 부트는 톰캣 서버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톰캣 서버 설치 없이 편리하게 서블릿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 HttpServletRequest 역할
HTTP 요청 메시지를 개발자가 직접 파싱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매우 불편할 것이다.
서블릿은 개발자가 HTTP 요청 메시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 대신에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HttpServletRequest 객체에 담아서 제공한다.
- HTTP 요청 메시지
- START LINE : HTTP 메소드 / URI / 쿼리 스트링 / 스키마, 프로토콜
- 헤더 : 헤더 조회
- 바디
- form 파라미터 형식 조회
- message body 데이터 직접 조회
- 임시 저장소 기능 : 해당 HTTP 요청이 시작부터 끝날 때 까지 유지되는 임시 저장소 기능
-
저장: request.setAttribute(name, value) / 조회: request.getAttribute(name)
-
- 세션 관리 기능
- request.getSession()
📍 HTTP 요청 메시지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 HttpServletResponse 역할
- HTTP 응답 메시지 생성
- HTTP 응답코드 지정
- 헤더 생성
- 바디 생성
- 편의 기능 제공
-
Content-Type, 쿠키, Redirect
-
📍 HTTP 응답 메시지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HTTP 응답 메시지는 주로 다음 내용을 담아서 전달한다.
- 단순 텍스트 응답
- 정적 리소스 응답(ex. html, css, js)
- HTTP API - MessageBody JSON 응답
4. Java의 I/O Stream
여전히 IO Stream이 좀 애매~했는데
같은 크루인 테오의 글을 읽고 뭔가 확 정리가 되었다! 역시 교수님!
📍 바이트 단위 입출력 vs 문자 단위 입출력
전송하는, 혹은 전송받는 데이터가 바이트냐 문자냐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사용
1) 바이트 단위 입출력 스트림(InputStream, OutputStream)
예시
- byte 배열로 데이터를 읽는다.
- byte 형식으로 write
2) 문자 단위 입출력 스트림(Reader, Writer)
예시
- char 배열로 데이터를 읽는다.
- 문자열을 그대로 write
📍기반 스트림 vs 보조 스트림
- 기반 스트림 : 실제로 Java 프로그램 외부와 통신하면서 데이터를 읽거나 받아오는 스트림
- 보조 스트림 : 그런 기반 스트림을 보조하면서 성능 향상 등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
- 보조 스트림 혼자서는 입출력을 수행할 수 없다!!
- 기반 스트림을 감싸는 데코레이터, 혹은 Wrapper 정도
- 최상위 클래스는 FilterInputStream, FilterOutputStream
BufferedInputStream이라는 보조 스트림을 통해 FileInputStream이라는 기반 스트림을 감싸고 있다.
보조 스트림을 사용하면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다.
감정회고
미션 금방 끝낼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더 오래걸렸다..
일단 Session 쪽이 꽤나 애매모호하고.. (왜 getSession 할 때 새로 만들어 응???)
테스트 작성하는게 빡셌다.
으음 공부 더 하고 좀 더 뜯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