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제 듣다 남은) 영한님의 스프링 DB 1편 [섹션 6 : 스프링과 문제 해결 - 예외처리, 반복] 강의를 들었다. 스프링의 예외 추상화를 자세히 본 건 처음이라 신기했다!! 📍 스프링의 데이터 접근 관련 예외 추상화 스프링은 데이터 접근 계층에 대한 수십 가지 예외를 정리해서 일관된 예외 계층을 제공한다. 각각의 예외는 특정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서비스 계층에서도 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JDBC 기술을 사용하든, JPA 기술을 사용하든 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를 사용하면 된다. + JDBC나 JPA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예외를 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로 변환해주는 역할도 스프링이 제공한다. 예외 최상위 계층은 org.springframework..
앞으로는 티스토리에 TIL을 올리려고 한다! 아자아자 화이팅~ 1. '실행중인 도커 컨테이너의 포트포워딩 변경`에 대한 글을 썼다. 레벨3 막바지에 로그 모니터링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필요했던 내용! 당시에 이미 구축한 젠킨스 파이프라인을 다시 처음부터 만들어야할까봐 엄청 긴장상태로 진행했던 기억이 난다.. 근데 도커 너무 재밌어보인다. 레벨4 때 도커를 좀 더 본격적으로 사용해볼 수 있으면 좋겠다. https://velog.io/@hanueleee/Docker-%EC%8B%A4%ED%96%89%EC%A4%91%EC%9D%B8-%EB%8F%84%EC%BB%A4-%EC%BB%A8%ED%85%8C%EC%9D%B4%EB%84%88%EC%9D%98-%ED%8F%AC%ED%8A%B8%ED%8F%AC%EC%9B%8C..